특집

> 특집 기획 특집 > 아재들 추억 여행용 자동차 아이템들

아재들 추억 여행용 자동차 아이템들

「꼰대」 자기의 구태의연한 사고 방식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이른바 '꼰대질'을 하는 직장 상사나 나이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변형된 속어.

최근 '90년생이 온다'라는 책이 열풍을 일었다. 이 책은 틀에 박힌 사회 인식을 넘어 초 개인주의, 초 합리주의를 지향하는 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안내서' 정도로 함축할 수 있다. 그러나 도로 사정은 이보다 좀 더 앞선다. 2019년 기준으로 2001년생이 1종 보통 및 2종 운전면허를 받아 도로에 나올 수 있게 됐다. 오늘은 운전면허, 운전 경력 선배로서 확실하게 '꼰대'가 될 수 있는 아이템들을 가져왔다. 준비됐는가? 그럼 이렇게 외쳐보자.

"내가 처음 운전 배웠을 땐 말이야~~~"


초크 밸브

첫 아이템부터 강력하다. 이 초크 밸브를 한 번에 알아차렸다면 40대 이상일 가능성이 크다. 군용차들은 워낙 오래됐으니 운전병은 열외다. 초크 밸브는 쉽게 설명하면 손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계식 스로틀 밸브다. 번개를 닮은 문양이 새겨진 밸브를 당기거나 돌려 강제로 엔진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초크 밸브는 과거 기화기 방식에서 냉간 시 불안한 아이들링을 위한 장치이다. 유입 공기량을 줄여 연료 농도를 상대적으로 높여주는 것이다. 90년대 말 디젤차와 LPG 개조차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위의 이미지는 2001년식 프레지오 초크 밸브의 모습이다.

풋 파킹 브레이크

자동차 페달은 보통 2개, 수동 변속기는 3개다. 그런데 하나 더 있는 차가 있다. 바로 풋 파킹 브레이크(족동식) 달린 차다. 자신이 소유한 적 없거나 차의 경험이 적으면 굉장히 당황할 수 있다. 변속 레버를 'D'에 놓아도 차는 앞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풋 파킹 브레이크도 두 가지로 나뉜다. 체결과 해제를 모두 밟아서 하는 타입과 해제할 때는 운전대 왼쪽에 위치한 레버를 조작하는 타입이다. 요즘차는 대부분 변속레버 옆 버튼이 달린 전자식이거나 검지로 눌러서 당기는 두 가지 중 하나이다.

헤드 백 체크

이번에는 운전 테크닉(?)이다. 자고로 상남자와 상여자는 후진할 때 한쪽 팔을 옆자리 헤드 레스트 뛰쪽에 걸쳐줘야 한다. 이 자세는 편하게 뒤쪽으로 시선을 고정하기 위해서 쓴다. 하지만 이런 운전 테크닉도 이제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후방 카메라 덕분이다. 뒷창문 사이로 보이는 모습보다 넓고 깨끗하게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보태어 운전대를 돌리면 차가 어떻게 움직일지 예상 라인도 그려주니 고개를 돌릴 필요가 없다. 하지만 가끔 후진할 때 느꼈던 심장의 두근거림도 기술 발전으로 핑곗거리가 되지 못할 것이다.

기계식 윈도 와인더

갑자기 떨어지는 빗방울에 와인더를 번개처럼 돌리며 윈도를 올려본 적 있는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면 조금 낭만적일 것 같은 분위기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두어 번 윈도를 오르내리면 땀이 날 지경. 내릴 땐 그나마 다행이다. 의외로 무거운 유리판을 작은 손잡이 하나로 올리려면 생각보다 큰 힘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기아차 모닝 기본형(베이직 플러스)에서는 전좌석, 디럭스 뒷좌석에서는 수동으로 창문을 열고 올리는 감성을 느껴볼 수 있다. 반대로 1톤 트럭 포터는 앞좌석 파워윈도(더블캡 2열은 상위 등급에서만)로 바뀐 지 오래다.

수동 변속 레버

수동 변속기 승용차는 이제 멸종 위기다. 그나마 경차에서 찾아볼 수 있고 운전의 재미를 강조한 '벨로스터 N'에서나 보인다. 1종 보통 운전면허가 있으면 15인승 이하 승합차를 운전할 수 있다. 10인승 이하로 제한되는 2종 면허보다 선호하는 이유다.

지금까지는 1종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수동 변속기 차를 운전할 줄 알아야 했다. 그나마 일반인들이 수동 변속기 차를 조금씩 움직일 수 있는 건 이 덕분. 그러나 빠르면 12월부터 1종 면허에 자동변속기 면허가 신설될 전망이다. 승합차에도 자동변속기가 대중화됐기 때문에 생겨났다고.

[번외] 정밀 도로지도 & 지리부도

내비게이션의 대중화는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전까지는 어떻게 초행길을 찾아다녔을까? 지금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지도를 보고 다녔다. 일명 '다시방'으로 불리는 글로브 박스나 시트백 포켓에 지도책 한 권 정도는 필수였다. 출발 전 책을 보며 도착지까지 가는 주요 도로와 분기점, 교차로 등을 머릿속에 담았다. 가는 동안 도로 표지판을 유심히 살펴야 했기에 한 번 가본 길은 쉽게 잊히지 않는다. 요즘에는 같은 곳을 몇 번씩 가도 길 외우는 게 쉽지 않다. 누군가 시키는 대로 운전대를 돌리기 때문이다.

고석연

고석연 기자

nicego@encarmagazine.com

공감 콘텐츠를 지향하는 열혈 에디터

작성자의 다른글 보기